고령화 시대 삶의 질을 개선할 ‘디지털 휴먼증강’이란?
페이지 정보
본문
ETRI가 만든 기술발전지도 2035에서 제시하는 신체 능력 증강 기술의 미래 모습. 신체에 착용하여 손상된 감각을 보조하고 강화시키는 등 인공감각을 재현하는 기술(사진=ETRI)
[바이오타임즈] 고령 인구 증가, 정서·심리적 불안 확산 등 사회적 변화로 건강한 생활과 삶의 질을 높이는데 관심이 커지면서 휴먼증강(Human Augmentation)에 대해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휴먼증강’은 보조 장치나 시스템을 활용해 인간 신체와 감성 기능을 개선, 보완하는 기술과 서비스를 말한다.
정부 역시 지난해 “대한민국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를 발표하면서 과학기술 도전과제 중 하나로 휴먼 증강 분야를 선정했다.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기 위해서다.
이처럼 휴먼증강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신체, 두뇌, 감성 능력을 개선, 보완하면서 건강한 생활을 누리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미래 유망 기술과 서비스를 발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23일, 협업 연구를 통해 미래 헬스케어 기술·서비스 방향성을 제시한 <디지털 휴먼증강 유망 기술·서비스>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국가 지능화 종합연구기관인 ETRI와 기술예측 전문기관인 KISTEP이 국내외 문헌 조사, 과학기술 및 인문사회과학 등 분야별 전문가 의견수렴, 워크숍을 통해 ‘디지털 휴먼증강’ 유망 기술·서비스 18개를 선정했다.
연구진은 ‘디지털 휴먼증강’ 분야가 사회문제 해결 차원에서 국가적 관심이 높은 R&D 대상임을 상기시키고자 본 보고서를 작성했다. 이를 통해 미래 지속 가능한 국가 발전을 위해 핵심 성장 산업을 육성하고 생태계를 가꾸기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특히 ICT, BT 등을 활용해 인간의 신체·두뇌·감성 능력 저하를 예방하고 나아가 회복, 향상을 도모하는 기술과 서비스를 의미하는 ‘디지털 휴먼증강’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제시해 의미가 깊다.
보고서는 정책 입안자 및 관련 기술 연구진들이 R&D 전략을 설정하고 기술력을 육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한편, 보고서에서 제시된 기술과 서비스들이 상용화되면 고령인, 장애인, 정신질환으로 어려움을 겪는 국민은 물론, 산업 분야에서도 생산성을 높이는 데 많은 활용이 예측된다.
ETRI, KISTEP이 발간한 『디지털 휴먼증강 유망 기술·서비스』 보고서에 수록된 5개 영역 기술·서비스(사진=ETRI)
◇‘디지털 휴먼증강’ 유망 기술·서비스 18개란?
연구진은 ▲신체 능력 증강 ▲두뇌 능력 증강 ▲감성 능력 증강 ▲디지털 휴먼 트윈 ▲공통 기반 기술 등으로 5개 영역을 구분하며 유망 기술·서비스 18개를 선정하였다.
첫 번째, 신체 능력 증강 영역에서는 △엑소스켈레톤 기반 개인 맞춤형 재활 시스템 △의도 반영 근력 증강 슈트 △감각치환 기술/서비스 △지능형 시청각 증강 기술 △신체보호 및 인공감각 엑소스킨 △신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AI 기반 개인 면역 진단 시스템 △인공장기 지능형 관리 시스템 등 7개가 도출되었다.
두 번째, 두뇌 능력 증강 영역에서는 △기억 저장/삭제 서비스 △AI 칩 삽입형 치매 예방/완화 시스템 △인지증강을 위한 다량정보 큐레이션 AI △증강인지 커넥티드 헤드셋/헬멧 △웨어러블/뇌 임플란트형 창의력 향상 시스템 등 5개가 선정되었다.
세 번째, 감성 능력 증강 영역에서는 △완전 다국어 통번역 및 수화를 해석하는 나만의 통역사 △마음을 나누는 AI 감성 친구 △정신질환 치료를 위한 디지털 감성케어 △부(-)정 감정 인지 및 완화 디지털 서비스 등 4개 기술을 제시하였다.
네 번째, 디지털 휴먼 트윈 영역에서는 △디지털 휴먼 바이오맵 기술이, 다섯 번째, 공통 기반 기술 영역에서는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 증강을 위한 지능형 인터페이스 기술을 제시하였다.
두뇌 능력 증강 기술을 활용해 기억을 저장하고 삭제하는 미래 모습(사진=ETRI)
ETRI 김명준 원장은 “AI를 비롯한 ICT 발전은 휴먼 2.0 이상 시대를 열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국은 기술과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관련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가 우리나라도 관련 정책 수립과 R&D 투자를 통해 인류 삶의 질을 드높이는 데 이바지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KISTEP 김상선 원장도 “이번 보고서는 양 기관이 연구 협업을 이루며 국가 R&D 기획 및 전략 수립 시너지를 이룬 결과물이다. 앞으로도 다양한 ICT 분야에서 정부출연 연구기관 간 협력을 이룰 수 있는 연구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확대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KISTEP 및 ETRI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바이오타임즈=박세아 기자] news@biotimes.co.kr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